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대구에서 개최된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 현재 세계 육상 연맹) 주최의 대회이다. 203개국 1,945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트랙 및 필드 경기를 펼쳤으며, 미국이 금메달 12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자메이카의 요한 블레이크와 우사인 볼트는 남자 100m, 200m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여자 100m에서 카멜리타 지터(미국), 200m에서 베로니카 캠벨브라운(자메이카)이 우승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남자 4 x 100m 계주에서 자메이카가 세계 신기록을 세웠으며, 468개의 소변 샘플 중 2개에서 이상 반응이 나타나 도핑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육상 대회 - 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
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은 2002년 부산에서 개최되어 39개국 459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46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육상 대회 - 1988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88년 서울 올림픽 육상은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남자와 여자 총 42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칼 루이스,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와 같은 스타 선수들의 활약과 올림픽 기록 경신이 있었다. -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11년 FIFA U-20 월드컵
2011년 FIFA U-20 월드컵은 콜롬비아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11년 야구 월드컵
2011년 야구 월드컵은 국제 야구 연맹 주관으로 파나마에서 개최된 야구 대회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네덜란드가 우승하고 대한민국은 6위를 기록했으며, 대회 후 올스타 팀과 토너먼트 시상이 있었다.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명칭 | 제13회 IAAF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현지 대회명 | 제13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 | |
개최 도시 | 대구, 대한민국 |
기간 | 2011년 8월 27일 – 2011년 9월 4일 |
참가 국가 | 204 |
참가 선수 | 1848 |
세부 종목 | 47 (남자 24, 여자 23) |
개막 선언 | 이명박, 대통령 |
폐막 선언 | 라민 디악, IAAF 회장 |
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
이전 대회 | 베를린 2009 |
다음 대회 | 모스크바 2013 |
2. 개최지 선정
2006년 4월 4일, 국제 육상 경기 연맹(현재 세계 육상 연맹)은 9개 국가(미국,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 스페인, 러시아, 아랍에미리트, 크로아티아, 모로코)가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유치하기 위한 유치 의향서를 제출했다고 발표했다.[2]
2007년 3월 몸바사에서 개최된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 이사회에서 아래의 입후보 도시 중에서 대한민국 대구에서 개최가 결정되었다.
2. 1. 후보 도시
2006년 12월 1일 신청 마감일까지 브리즈번, 대구, 모스크바, 예테보리가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유치 신청을 했다.[104] 예테보리는 2006년 12월 중순에 스웨덴 정부의 재정 지원 부족을 이유로 후보에서 사퇴했다.[4]브리즈번은 퀸즐랜드 스포츠 육상 센터를 주경기장으로 하여 7월이나 8월에 대회를 개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곳은 1982년 코먼웰스 게임과 2001년 굿윌 게임을 개최한 곳으로, 2009년 대회 유치에도 나섰지만 실패한 경험이 있었다.
대구는 2009년에 이어 두 번째 유치 신청이었다.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개최한 경험이 있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일본에서 두 번 개최된 적이 있지만, 아시아 본토에서는 한 번도 개최된 적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모스크바는 루즈니키 스타디움을 개최 경기장으로 제시했다. 1980년 하계 올림픽과 2006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 경험이 있었다.
모로코의 카사블랑카, 크로아티아의 스플리트 역시 개최 후보 도시였으나,[103]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후보에서 실패했다. 스페인은 바르셀로나를 201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후보로 결정했다.[3] 미국은 2016년 하계 올림픽 후보 도시였던 시카고, 로스엔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중 한 곳을 후보로 고려했다.[105]
2. 2. 최종 선정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2007년 3월 27일 몸바사에서 열린 총회에서 대구가 개최지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106][6] 대구의 유치는 "경기장의 질과 좋은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했다.[7] IAAF 관계자들은 또한 대구의 "야망과 도전 정신"을 유치에 성공한 핵심 요인으로 칭찬했다.[8]개최지 선정에서 탈락한 모스크바와 브리즈번은 201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도 유치 신청을 했으며,[104] 이 유치 경쟁에서는 모스크바가 승리했다.[3]
2007년 3월 몸바사에서 개최된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 이사회에서 입후보 도시 중 대한민국 대구로 개최지가 결정되었다.
3. 준비 과정
2007년 3월 27일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케냐 몸바사 화이트샌즈 호텔에서 집행이사회를 열어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개최지를 확정시켰다. 자원봉사자 신청은 2010년 9월 1일부터 시작하였으며, 4개 분야 총 544명이 뽑혔다. 티켓 발매는 2010년 8월 27일부터 시작되었다.
4. 선수촌/미디어촌
'''e편한세상 세계육상선수촌아파트'''는 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에 위치해 있으며,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참가하는 육상 국가대표 선수들과 각국의 기자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대림산업이 조성한 대구광역시 율하지구 내에 2011년까지 건설되었다. 대회 이후에는 일반인들에게 공급되었다.
1단지는 율하서로 85 (율하동 1402)에 위치하며 528세대(총 9개동)로 구성되어 있다. 13 ~ 15층 높이로 2011년 6월에 준공되었으며, 세대당 주차대수는 1.87대이다. 면적은 123Bm2에서 201m2까지 다양하며, 율금초등학교가 배정된다. 난방은 개별난방, 도시가스 방식이다.
2단지는 안심로16길 71 (율하동 1408)에 위치하며 652세대(총 14개동)이다. 8 ~ 15층 높이로 2011년 4월에 준공되었으며, 세대당 주차대수는 1.27대이다. 면적은 99ANm2에서 112Am2까지 다양하며, 율금초등학교가 배정된다. 난방은 개별난방, 도시가스 방식이며, 대림산업, 태영건설, 케이씨씨건설(주)가 건설하였다.
5. 경기 일정
자 | 자격 예선 | 예 | 예선전 | 준 | 준결승전 | 결 | 결승전 |
rowspan=2 | | 27 | 28 | 29 | 30 | 31 | 1 | 2 | 3 | 4 | ||||||||||||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
100m | bgcolor="#D0A9F5"| | H | S | F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200m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H | S | F | colspan="3"| | |||||||||||
400m | colspan="2"| | H | colspan="2"| | S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800m | H | S | colspan="3"|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1500m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H | colspan="2"| | S | colspan="2"| | F | colspan="3"| | ||||||||||||
5000m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H | colspan="2"| | colspan="2"| | F | ||||||||||||
10000m | colspan="2"| | F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마라톤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F | colspan="2"| | |||||||||||
110m 허들 | colspan="2"| | H | colspan="2"| | S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400m 허들 | colspan="2"| | colspan="3"| | H | colspan="2"| | S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3000m 장애물 | colspan="2"| | colspan="3"| | H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4×100m 릴레이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H | F | |||||||||||
4×400m 릴레이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H | F | colspan="2"| | colspan="3"| | ||||||||||||
20km 경보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50km 경보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F | colspan="3"| | ||||||||||||
멀리뛰기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Q | F | colspan="2"| | colspan="3"| | ||||||||||||
세단뛰기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Q | colspan="2"| | F | ||||||||||||
높이뛰기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Q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장대높이뛰기 | Q | colspan="3"|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포환던지기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Q | F | colspan="2"| | colspan="3"| | ||||||||||||
원반던지기 | colspan="2"| | colspan="3"| | Q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해머던지기 | Q | colspan="3"|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
창던지기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Q | colspan="2"| | F | colspan="3"| | ||||||||||||
10종 경기 | F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rowspan=2 | | 27 | 28 | 29 | 30 | 31 | 1 | 2 | 3 | 4 | ||||||||||||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오 | 후 | ||||
100m | bgcolor="#D0A9F5"| | H | S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200m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H | S | F | colspan="3"| | colspan="3"| | |||||||||||
400m | H | S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800m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H | S | colspan="3"| | F | ||||||||||||
1500m | colspan="2"| | H | colspan="3"| | S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5000m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H | colspan="2"| | colspan="2"| | F | colspan="3"| | colspan="3"| | ||||||||||||
10000m | F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마라톤 | F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100m 허들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H | S | F | colspan="3"| | |||||||||||
400m 허들 | colspan="2"| | colspan="2"| | H | colspan="2"| | S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3000m 장애물 | H | colspan="2"| | colspan="3"|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4×100m 릴레이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H | F | |||||||||||
4×400m 릴레이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H | F | colspan="3"| | ||||||||||||
20km 경보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멀리뛰기 | Q | F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세단뛰기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Q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높이뛰기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Q | colspan="2"| | F | colspan="3"| | ||||||||||||
장대높이뛰기 | colspan="2"| | Q | colspan="3"|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포환던지기 | colspan="2"| | Q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원반던지기 | Q | F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해머던지기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Q | colspan="3"| | F | ||||||||||||
창던지기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2"| | colspan="2"| | Q | F | colspan="3"| | colspan="3"| | ||||||||||||
7종 경기 | colspan="2"| | colspan="2"| | F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3"| | colspan="3"| |
- '''오''' : 오전 실시 종목 / '''후''' : 오후·저녁 실시 종목
5. 1. 남자
wikitext


종목 | 금 | 은 | 동 |
---|---|---|---|
100m | 요한 블레이크 (자메이카) | 월터 딕스 (미국) | 킴 콜린스 (세인트키츠 네비스) |
200m | 우사인 볼트 (자메이카) | 월터 딕스 (미국) | 크리스토프 르메트르 (프랑스) |
400m | 키라니 제임스 (그레나다) | 라숀 메리트 (미국) | 케빈 보를레 (벨기에) |
800m | 데이비드 레쿠타 루디샤 (케냐) | 아부바카르 카키 (수단) | 유리 보르자콥스키 (러시아) |
1500m | 아스벨 키로프 (케냐) | 실라스 키플라가트 (케냐) | 매슈 센트로위츠 (미국) |
5000m | 모 패러 (영국) | 버나드 라가트 (미국) | 데옌 게브르메스켈 (에티오피아) |
10,000m | 이브라힘 제일란 (에티오피아) | 모 패러 (영국) | 이마네 메르가 (에티오피아) |
마라톤 | 아벨 키루이 (케냐) | 빈센트 키프루토 (케냐) | 페이사 릴레사 (에티오피아) |
110m 허들 | 제이슨 리처드슨 (미국) | 류샹 (중국) | 앤디 터너 (영국) |
400m 허들 | 데이비드 그린 (영국) | 하비에르 컬슨 (푸에르토리코) | L. J. 반 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
3,000m 장애물경주 | 에즈키엘 켐보이 (케냐) | 브리민 키프루토 (케냐) | 마히딘 메키시 (프랑스) |
20km 경보 | 루이스 페르난도 로페스 (콜롬비아) | 왕전 (중국) | 김현섭 (대한민국) |
50km 경보 | 데니스 니제고로도프 (러시아) | 재러드 탤런트 (오스트레일리아) | 쓰톈펑 (중국) |
400m 이어달리기 | 자메이카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래터 요한 블레이크 우사인 볼트 | 프랑스 테디 틴마르 크리스토프 르메트르 야니크 르수르 지미 비코 | 세인트키츠 네비스 제이슨 로저스 킴 콜린스 앤트완 로런스 브리제시 로런스 |
1600m 이어달리기 | 미국 그레그 닉슨 버숀 잭슨 앤젤로 테일러 라숀 메리트 | 남아프리카 공화국 셰인 빅터 오펜체 모가와네 빌렘 데 비어 L. J. 반 질 | 자메이카 앨로딘 포서길 저메인 곤절러스 라이커 힐턴 리퍼드 그린 |
종목 | 금 | 은 | 동 |
---|---|---|---|
높이뛰기 | 제시 윌리엄스 (미국) | 알렉세이 드미트리크 (러시아) | 트레버 배리 (바하마) |
장대높이뛰기 | 파베우 보이치에호프스키 (폴란드) | 라사로 보르헤스 (쿠바) | 르노 라빌레니 (프랑스) |
멀리뛰기 | 드와이트 필립스 (미국) | 미첼 와트 (오스트레일리아) | 은고니자셰 마쿠샤 (짐바브웨) |
세단뛰기 | 크리스천 테일러 (미국) | 필립스 이도우 (영국) | 윌 클레이 (미국) |
포환던지기 | 다비트 슈토를 (독일) | 딜런 암스트롱 (캐나다) | 크리스천 캔트웰 (미국) |
원반던지기 | 로베르트 하르팅 (독일) | 게르드 칸테르 (에스토니아) | 에산 하다디 (이란) |
창던지기 | 마티아스 데 초르도 (독일) | 안드레아스 토르킬센 (노르웨이) | 기예르모 마르티네스 (쿠바) |
해머던지기 | 무로후시 고지 (일본) | 퍼르시 크리스티안 (헝가리) | 프리모주 코즈무스 (슬로베니아) |
10종경기 | 트레이 하디 (미국) | 애시턴 이턴 (미국) | 레오넬 수아레스 (쿠바) |
남자 부문 경기는 자메이카가 세운 4 x 100m 계주 세계 기록과 여러 세계 최고 기록으로 마무리되었다. 자메이카는 단거리 경주를 지배했고, 케냐와 에티오피아는 장거리 트랙 경주를 지배했다. 필드 경기에서는 미국과 독일이 가장 성공적이었으며 각각 4개와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자메이카 출신의 요한 블레이크와 우사인 볼트는 두 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남자 경기에서 가장 성공적인 선수였다.
100m 결승에서 압도적인 우승 후보였던 우사인 볼트는 부정 출발로 실격되었고, 요한 블레이크가 9.92초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200m에서 볼트는 19.40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는데, 이는 당시 세계 기록이 아닌 최고 기록이었다. 블레이크와 볼트는 동료 선수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라터와 함께 4 x 100m 계주에서 37.04초의 새로운 세계 기록을 세웠다. 10,000m 경기에서 세계 챔피언 케네니사 베켈레는 완주하지 못했다. 800m 세계 기록 보유자 데이비드 루디샤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마지막 날, 케냐의 아벨 키루이는 아벨 안톤과 자우아드 가리브에 이어 다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타이틀을 방어한 세 번째 마라톤 우승자가 되었다.
대부분의 필드 경기는 새로운 우승자로 마무리되었지만, 드와이트 필립스는 멀리뛰기 타이틀을 유지하며 이 종목에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4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이반 페드로소에 이어 두 번째 선수가 되었다.
에티오피아의 이마네 메르가는 원래 남자 5000m에서 동메달을 받았지만, 트랙 안쪽 10~15m를 달린 혐의로 실격되었다. 그의 팀 동료 데젠 게브레메스켈이 그 결과 동메달을 획득했다.[10]
쿠바의 데이론 로블레스는 남자 110m 허들 경기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마지막 장벽 전과 넘는 과정에서 류샹을 두 번 방해한 혐의로 실격되었다. 제이슨 리차드슨이 금메달, 류샹이 은메달, 앤디 터너가 동메달을 받았다.
5. 1. 1. 트랙 경기
종목 | 금 | 은 | 동 |
---|---|---|---|
100m | 요한 블레이크 (자메이카) | 월터 딕스 (미국) | 킴 콜린스 (세인트키츠 네비스) |
200m | 우사인 볼트 (자메이카) | 월터 딕스 (미국) | 크리스토프 르메트르 (프랑스) |
400m | 키라니 제임스 (그레나다) | 라숀 메리트 (미국) | 케빈 보를레 (벨기에) |
800m | 데이비드 레쿠타 루디샤 (케냐) | 아부바카르 카키 (수단) | 유리 보르자콥스키 (러시아) |
1500m | 아스벨 키로프 (케냐) | 실라스 키플라가트 (케냐) | 매슈 센트로위츠 (미국) |
5000m | 모 패러 (영국) | 버나드 라가트 (미국) | 데옌 게브르메스켈 (에티오피아) |
10,000m | 이브라힘 제일란 (에티오피아) | 모 패러 (영국) | 이마네 메르가 (에티오피아) |
마라톤 | 아벨 키루이 (케냐) | 빈센트 키프루토 (케냐) | 페이사 릴레사 (에티오피아) |
110m 허들 | 제이슨 리처드슨 (미국) | 류샹 (중국) | 앤디 터너 (영국) |
400m 허들 | 데이비드 그린 (영국) | 하비에르 컬슨 (푸에르토리코) | L. J. 반 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
3,000m 장애물경주 | 에즈키엘 켐보이 (케냐) | 브리민 키프루토 (케냐) | 마히딘 메키시 (프랑스) |
20km 경보 | 루이스 페르난도 로페스 (콜롬비아) | 왕전 (중국) | 김현섭 (대한민국) |
50km 경보 | 데니스 니제고로도프 (러시아) | 재러드 탤런트 (오스트레일리아) | 쓰톈펑 (중국) |
400m 이어달리기 | 자메이카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래터 요한 블레이크 우사인 볼트 | 프랑스 테디 틴마르 크리스토프 르메트르 야니크 르수르 지미 비코 | 세인트키츠 네비스 제이슨 로저스 킴 콜린스 앤트완 로런스 브리제시 로런스 |
1600m 이어달리기 | 미국 그레그 닉슨 버숀 잭슨 앤젤로 테일러 라숀 메리트 | 남아프리카 공화국 셰인 빅터 오펜체 모가와네 빌렘 데 비어 L. J. 반 질 | 자메이카 앨로딘 포서길 저메인 곤절러스 라이커 힐턴 리퍼드 그린 |
남자 부문 경기는 자메이카가 세운 4 x 100m 계주 세계 기록과 여러 세계 최고 기록으로 마무리되었다. 자메이카는 단거리 경주를 지배했고, 케냐와 에티오피아는 장거리 트랙 경주를 지배했다. 자메이카 출신의 요한 블레이크와 우사인 볼트는 두 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남자 경기에서 가장 성공적인 선수였다.
100m 결승에서 압도적인 우승 후보였던 우사인 볼트는 부정 출발로 실격되었고, 요한 블레이크가 9.92초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200m에서 볼트는 19.40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는데, 이는 당시 세계 기록이 아닌 최고 기록이었다. 블레이크와 볼트는 동료 선수 네스타 카터, 마이클 프라터와 함께 4 x 100m 계주에서 37.04초의 새로운 세계 기록을 세웠다. 10,000m 경기에서 세계 챔피언 케네니사 베켈레는 완주하지 못했다. 800m 세계 기록 보유자 데이비드 루디샤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마지막 날, 케냐의 아벨 키루이는 아벨 안톤과 자우아드 가리브에 이어 다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타이틀을 방어한 세 번째 마라톤 우승자가 되었다.
에티오피아의 이마네 메르가는 원래 남자 5000m에서 동메달을 받았지만, 트랙 안쪽 10~15m를 달린 혐의로 실격되었다. 그의 팀 동료 데젠 게브레메스켈이 그 결과 동메달을 획득했다.[10]
쿠바의 데이론 로블레스는 남자 110m 허들 경기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마지막 장벽 전과 넘는 과정에서 류샹을 두 번 방해한 혐의로 실격되었다. 제이슨 리차드슨이 금메달, 류샹이 은메달, 앤디 터너가 동메달을 받았다.